English

- 영어 기사 공부 2 -

Edamia 2025. 2. 27. 17:31
728x90
반응형

[Edamia '2' 번째 영어기사 분석]

 

 

오늘은 The economist의 기사 일부분을 분석해볼거에용

 

*Freepik

 

"Inflation is like cockroaches,” John Cochrane of Stanford University recently wrote. When there are only a few left [it] is not the time to let up."

첫번째 문장 분석 및 해석

"Inflation is like cockroaches," John Cochrane of Stanford University recently wrote.
("인플레이션은 바퀴벌레와 같다,"라고 스탠퍼드 대학교의 존 코크런이 최근 썼다.)

  • 주어 (Subject): Inflation (인플레이션)
  • 동사 (Verb): is like (~와 같다)
  • 보어 (Complement): cockroaches (바퀴벌레)
  • 부연 설명:
    → 경제학자인 John Cochrane이 인플레이션을 바퀴벌레에 비유한 것.
    → 바퀴벌레는 몇 마리 보이면 숨어 있는 더 많은 바퀴벌레가 있을 가능성이 크므로, 방심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를 내포함.

"When there are only a few left [it] is not the time to let up."
("몇 마리만 남아 있다고 해서 방심할 때가 아니다.")

1. 문장 구조 분석

  • 부사절 (When-clause): When there are only a few left
    • 주어: there (가주어)
    • 동사: are (존재를 나타내는 동사)
    • 보어: only a few left (단 몇 마리만 남아 있음)
    • 설명:
      • only a few left → a few cockroaches are left의 축약된 표현
      • 바퀴벌레(=인플레이션)가 몇 마리밖에 안 보인다고 해도, 이것이 완전히 사라졌다는 의미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
  • 주절 (Main clause): [it] is not the time to let up.
    • 주어: it (문맥상 생략되었으나 "this situation"을 의미)
    • 동사: is not (~가 아니다)
    • 보어: the time to let up (긴장을 늦출 때)
    • 설명:
      • let up = 긴장을 풀다, (조치를) 약화하다
      • 즉, 인플레이션이 조금 줄었다고 해서 통화 정책이나 경제 조치를 완화할 시점이 아니라는 의미

해석 정리

"인플레이션은 바퀴벌레와 같다,"라고 스탠퍼드 대학교의 존 코크런이 최근 썼다. 몇 마리만 남아 있다고 해서 방심할 때가 아니다.

인플레이션이 부분적으로 완화되었다고 해서 정책적 대응을 늦추면 안 된다는 의미를 강하게 전달.
바퀴벌레 비유를 통해 인플레이션이 눈앞에서 사라진 것처럼 보여도 여전히 경제 전반에 남아 있을 수 있음을 경고하는 문장.

 

"Only with an enormous recession in the early 1980s, which policymakers engineered by using a shedload of borax, did they at last exterminate inflation for good."

 

두번째 문장 분석 및 해석

"Only with an enormous recession in the early 1980s, which policymakers engineered by using a shedload of borax, did they at last exterminate inflation for good."
(1980년대 초반, 정책 입안자들이 엄청난 양의 붕사를 사용해 유도한 대규모 경기 침체를 통해서만, 그들은 마침내 인플레이션을 완전히 박멸했다.)


1. 문장 구조 분석

① 부사구 (Only with ~) →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강조 구문

"Only with an enormous recession in the early 1980s"

  • Only with → 오직 ~를 통해서만 (강조)
  • an enormous recession → 대규모 경기 침체
  • in the early 1980s → 1980년대 초반에

💡 "Only with"로 시작하는 구문이 도치(inversion)를 유발하여 주어와 동사의 위치가 바뀜
(원래 문장: They at last exterminated inflation for good only with an enormous recession in the early 1980s.)


② 관계절 (which ~) → 앞의 "recession"을 수식

"which policymakers engineered by using a shedload of borax"

  • which → 앞의 "recession"을 수식하는 관계대명사
  • policymakers engineered → 정책 입안자들이 만들어낸 (유도한)
  • by using a shedload of borax → 엄청난 양의 붕사를 사용해서

💡 shedload = a large amount (엄청난 양)
💡 borax = 붕사 (화학물질, 보통 살충제 등에 사용)
➡ 여기서 **"borax"**는 **강력한 경제 정책(금리 인상 등 긴축 정책)**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


③ 본문 (did they ~) → 도치된 문장 구조

"did they at last exterminate inflation for good."

  • did they → (도치 구조) 원래는 "they did"
  • at last → 마침내
  • exterminate → 완전히 제거하다, 박멸하다
  • for good → 영원히, 완전히

💡 "Only with"로 문장이 시작되면서 도치가 발생하여 "did they"로 바뀜
💡 **"exterminate"**는 곤충을 박멸할 때 쓰는 단어로, 앞 문장에서 인플레이션을 바퀴벌레에 비유한 것과 연결됨


2. 해석 정리

1980년대 초반, 정책 입안자들은 대규모 경기 침체를 유도하는 방식으로만 인플레이션을 완전히 박멸할 수 있었다.
➡ **"붕사(borax)"**는 인플레이션을 제거하기 위한 극단적인 긴축 정책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
➡ **"exterminate inflation"**는 앞에서 인플레이션을 바퀴벌레에 비유한 것과 연결됨 (완전히 박멸해야 한다는 의미 강조).


3. 핵심 문법 및 표현 정리

  1. "Only with ~ did they ~" → "Only with"로 시작하면 도치가 발생하여 "did they" 형태로 바뀜.
  2. "shedload of ~" → "a large amount of ~"와 같은 의미로 엄청난 양을 뜻함.
  3. "exterminate" → 곤충, 질병 등을 완전히 박멸하다는 의미로 사용됨.
  4. "for good"영원히, 완전히라는 뜻의 강조 표현.

이 문장은 1980년대 초 미국이 인플레이션을 완전히 잡기 위해 강력한 긴축 정책을 시행했고, 그로 인해 경기 침체가 발생했음을 설명하는 문장이다.

  • "붕사(borax)"를 사용한 비유적인 표현을 통해 긴축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제거하는 강력한 수단이었음을 강조.
  • **"exterminate inflation"**이라는 표현으로 인플레이션을 해충(바퀴벌레)처럼 다루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
  • 도치 구조와 강조 표현을 활용하여 정책의 강도를 강조하는 문장임.

 

728x90
반응형

'English'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영어 기사 공부 -  (0) 2025.02.14
- To Whom It May Concern -  (2) 2024.11.13
- Found a Detour -  (8) 2024.10.17
- To Accommodate -  (4) 2024.10.07
- Reach out -  (3) 2024.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