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ever

- 흔들거리는 상업용 오피스, 아파트는 안전할까? -

Edamia 2024. 8. 28. 17:03
728x90
반응형

[Edamia '23' 번째 블로글]

'SFC 매각의 충격파, 서울 상업용 오피스 흔들흔들?!'


*Freepik

 

서울, 상업용 오피스 시장의 한계?

서울의 상업용 오피스 시장은 정점에 도달한 것으로 보이며, 2023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하락세에 진입했읍니다. 여의도 오피스 공실률은 *2023년 2분기 기준 9.3%*로 증가세를 보였으며, 이는 시장 과열의 후유증으로 해석할 수 있읍니다. 광화문 지역 역시 공실률이 *8.5%*에 달하며 오피스 수요 감소의 흐름이 감지되고 있읍니다. 또한 강남 오피스 공실률도 *7.8%*로 상승하며 상업용 오피스 시장의 수익성이 줄어드는 모습이 두드러지고 있읍니다. 상업용 오피스 시장은 코로나19 이후 원격 근무 확산과 더불어 수요가 둔화되며 새로운 국면에 들어선 것 같읍니다. 이와 더불어 대규모 자산 매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하겠읍니다.

*Freepik

 

서울 오피스 시장의 전망

2024년에도 서울 상업용 오피스 시장의 하락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공실률은 더욱 증가할 가능성이 높읍니다. 여의도 오피스의 경우, 향후 공실률이 10%를 돌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읍니다. 이는 투자자들의 관심이 상업용 오피스에서 점차 주거용 부동산이나 대체 투자로 이동하고 있다는 신호이기도 하겠읍니다. 광화문과 강남 지역도 비슷한 흐름을 보이며, 공실률 상승과 임대료 하락의 이중고를 겪고 있읍니다. 상업용 부동산 투자 리스크가 커지면서 REITs(부동산 투자 신탁) 상품의 수익률도 줄어들고 있읍니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러한 흐름이 서울뿐만 아니라 전국적인 트렌드로 자리잡을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읍니다.

 

 

GIC의 SFC 매각 내용

싱가포르투자청(GIC)은 최근 서울파이낸스센터(SFC)를 매각하며, 서울 상업용 오피스 시장의 변화를 반영했읍니다. SFC는 2004년 GIC가 약 5,500억 원에 인수한 후, 서울의 중심지에서 주요 오피스로 자리 잡아 왔읍니다. 그러나 최근 시장 환경 변화로 인해 GIC는 1조 5,000억 원 규모로 연면적 약 11만 9646㎡에 달하는 SFC를 매각하기로 결정했으며, 이는 상업용 오피스 시장이 정점에 도달해 수익성이 하락하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읍니다. 이번 매각은 국내외 투자자들에게 상업용 오피스의 리스크를 다시 한 번 인식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읍니다. 이는 서울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 중대한 신호로 작용할 수 있읍니다.

*Freepik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및 예상

상업용 오피스 시장의 하락은 주거용 부동산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읍니다. 상업용 부동산에 대한 투자 수익성이 줄어들면서, 투자자들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아파트 시장으로 관심을 돌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읍니다. 이는 단기적으로 아파트 가격 상승의 요인이 될 수 있읍니다. 특히 강남 지역의 경우, 상업용 부동산보다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더 높아지며 가격 상승이 예상되고 있읍니다. 상업용 오피스의 공실률 증가와 맞물려 임대료 하락이 이어지면, 오피스 매출의 하락으로 이어져 상업용 부동산 투자 매력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읍니다. 이러한 흐름은 서울 아파트 시장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읍니다.


*Freepik

 

결론

상업용 오피스 시장의 하락은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 부동산 시장에 중요한 신호를 주고 있읍니다. 투자자들은 상업용 오피스의 위험을 인식하며, 더욱 안정적인 투자처를 찾고 있읍니다. 부동산 시장이 다음이 될 수 있을까요??

 

728x90
반응형